2024/12/01 7

파이썬 -상속 및 함수

1. 상속# 상속# 상속이라는 것은 상위 개념을 적용받은 하위 개념을 만들 때# 사용하는 것이다.(하향식)# 상속을 하는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라고 부르며,# 상속을 함으로써 상속받는 자식 클래스는# 부모 클래스가 정의한 속성, 메서드 등등을# 그대로 (재)사용할 수 있게 된다.# 혹은 상속받은 것을 수정하거나# 자식 클래스만의 새로운 무언가를 추가할 수도 있다.# 부모 클래스, 슈퍼 클래스, 상위 클래스# 상위 클래스를 먼저 만들고 하위 클래스를 만드는 것을# 하향식 클래스 작성이라고 부른다.# 이런 방식은 기초 개념(공통 개념)을 정립한 후# 구체적인 개념을 추가하는 방식에서 주로 쓰인다.class Person: def __init__(self, name) -> None: self.n..

파이썬 클래스와 메서드

1. 클래스와 메서드# 클래스와 메서드# class Person(): # name = "" def __init__(self, input_name, age=0, gender=None) -> None: # 이름, 나이, 성별 print(input_name) self.name = input_name self.age = age self.gender = gender self.print_infos() # return 0 #되돌려 줄 값(주소값)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# 초기화 메서드(__init__)는 return을 반드시 None으로 해주어야한다. def print_infos(s..

파이썬-함수

# 함수를 선언하는데, # 숫자값 두 개를 전달 받아# 그 합을 반환하는 함수 작성# 작성한 함수 테스트 실행해보기if __name__ == "__main__": result = test(13, 15) print(result) # 281. 함수 선언방법# 상단은 임포트 하는 공간이다# 중단은 코드를 작성하는 곳이다.# 함수(function), 메서드(method)# 기능을 미리 정의해두는 하나의 기능 부품이다.# 1. define -> def를 작성한 뒤, 함수의 이름을 작성# 2. 함수명 뒤에는 소괄호를 연다.# 3. 소괄호 안에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값을 담을 변수명을 적는다.(파라미터)# 4. 함수 작성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콜론(:)을 적고# 5. 줄바꿈 한 뒤, 들여쓰기를 한 ..

파이썬 반복문과 리스트

1. 반복문1-1)while문- 이터러블 객체{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 등등 }이 아닌 반복을 할때 주로 사용한다.-몇번을 반복할지 모를때 사용한다.1-2)for문-이터러블 객체의 요소를 하나씩 가져와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때 사용한다. 1)while문# while문 만들기select = int(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(양수): "))while select >=0: print(select) select -= 2 -->#숫자를 입력하세요(양수): 10#10#8#6#4#2#0 1-1)반복문 안에서 탈출하는 방법# 반복문 안에서 탈출하는 방법# break# while문이나 for 문안에서 사용되는 문법으로,ㅇ# 코드 실행 중 break를 만나면,# 그 즉시 가장 가까운 반복문을 탈출한다.whil..

파이썬 연산자-논리 연산자

# 연산자- 논리 연산자 - 논리값과 논리값을 연산하여 그 결과 논리값이 나오는 연산자를 의미한다. ## 논리연산자의 종류 1. 두 논리값이 모두 참이면, 그 결과 참을 반환하는 연산자   1. and 연산자(논리곱 연산자)   - 두 값이 모두 참이면 참 반환(T T T)   - 두 값 중 하나라도 거짓이면 거짓 반환(T F F)   - 두 값 모두 거짓이면 거짓 반환(F F F) 2, 두 논리값 중 하나라도 참이면, 그 결과 참을 반환하는 연산자  or 연산자(논리합 연산자)     - 두 값이 모두 참이면 참 반환(T T T)     - 두 값 중 하나라도 참이면 참 반환(T F T)     - 모든 값이 거짓이어야 거짓 반환(F F F)     - 특징: *앞의 값이 참이면 뒤의 값은 확인하지 않..

카테고리 없음 2024.12.01

파이썬 제어문_조건문

1. 조건문-주어진 조건의 결과에 따라 실행할지 말지(여부)를 결정하는 문법이다. 1)name = input("name: ") # or "홍길동"# name 이라는 변수가 빈문자열("")이라면if name == "": # 아래 문구를 출력 print("이름을 입력하지 않았습니다") --> name: 이름을 입력하지 않았습니다 2)name = input("name: ") # or "홍길동"# name 이라는 변수가 빈문자열("")이라면if name == "": # 아래 문구를 출력 print("이름을 입력하지 않았습니다")else: # 빈 문자열이 아니라면 # 입력한 이름 출력 print(name) --> name: 이름을 입력하지 않았습니다 3)# @markdown ### ie el..

파이썬 형변환

1. 정수형으로의 형변환# 정수형으로의 형변환input_text = input() #3.14 float_text = float(input_text)int_text = int(float_text)# "30" --> ok: int()# "3.14" --> error -> 해결:float() -> int()print(int_text) #3 2. 실수형으로의 형변환#float(실수형)로의 형변환input_text = input() # 3.14float_text = float(input_text)print(float_text) # 3.14 3. 문자열로의 형변환# 문자열로의 형변환str_text = str(30)str_text2 = f"{str_..